발행일 2018-06-15
내용
보령 명천동유적은 보령 명천지구 택지개발 사업에 따라 발굴조사 되었으며, 구석기시대 유물포함층과 함께 청동기시대~삼국시대, 고려시대의 다양한 유구가 확인된 복합유적이다.
각 시대별로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석기시대의 유물포함층은 2개 지점에서 확인되었으며, 안정된 층위 안에서 몸돌, 주먹도끼, 여러면석기, 찍개와 같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명천동유적은 보령지역에서 최초로 발굴조사 된 구석기유적이며, 인근에서 확인된 유적들과 비교하였을 때 중기구석기시대로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청동기시대의 유구는 주거지와 수혈, 지상건물지, 소성유구, 석관묘, 석개토광묘 등이 확인되었다.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전기의 세장방형주거지와 함께 송국리식 주거지가 확인되었으며, 석관묘, 석개토광묘 등의 분묘유구도 함께 확인된다. 생활유구와 분묘유구와 주거구역과 분묘구역을 나누어서 조성되었으며, 이는 청동기시대인의 마을 경관과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원삼국시대에는 환구가 지속적으로 조성되면서, 유적의 성격이 변화되었음을 보여준다. 환구와 함께 확인된 토광묘에서는 중국제 동경과 구슬이 출토되어 의례공간으로 사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
이후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유구는 고분과 토광묘 등이 확인되는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주거터전으로 사용되었던 명천동유적은 원삼국시대 이후 의례와 묘역 같은 사후적 공간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